본문 바로가기

한글5

구글 드라이브에서 한글(hwp) 읽기 비영리단체용 워크 스페이스를 활용하면 구글 드라이브 30GB를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구글시트와 구글 설문지를 주로 사용하는데, 가끔은 구글 드라이브에 PDF 파일이나 한글 파일을 저장해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가장 불편한 것은 PDF 파일은 바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한글(hwp) 파일을 확인하려면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오랫 동안 한글(HWP)에 워낙 익숙해 있다보니 구글 문서나 다른 워드프로세스로 바꾸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구글드라이브에는 가급적 한글 파일을 올리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런데 몇 칠전 구글링을 하다가 우연히 구글 드라이브에서 한글(HWP) 파일을 열어볼 수 있는 크롬 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사진으.. 2022. 9. 20.
한글 글자판 내 맘대로 바꾸기 문서 작성을 위해 한글 워드프로세스(2벌식)를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한 것 없나요? 저는 가장 불편한 것이 ·(중간점)을 찍기 위해 문자표를 열어서 글자를 찾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단축키 Control+F10 키를 누르면 되기는 하지만, 워드 작업을 하다가 바로 키보드만 두드려서 입력하는 것보다는 훨씬 불편하지요. 제가 개인적으로 두 번째로 불편한 것은 「」, 『』 꺽쇠 괄호를 입력할 때였습니다. 중간점과 마찬가지로 Control+F10 키를 누르면 되기는 하지만, 워드 작업을 하다가 바로 키보드만 두드려서 입력하는 것보다는 훨씬 불편하지요. 그러면서 제가 사용하는 자판을 자세히 살펴보니, 마침 전혀(그의) 사용하지 않는 자판이 세 개 있더군요. 바로 아래 그림에 있는 괄호와 원표시 자판이었습니다. 그래서.. 2022. 6. 30.
맥북 오른쪽 커맨드 키로 한영전환, Karabiner 맥북을 사용하면서 겪는 불편 중 하나는 한영 전환이 윈도우 컴퓨터와 다르다는 것입니다. 286컴퓨터를 처음 구입하던 때부터 아래한글 워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당시 가장 익숙하던 한영 전환 방식은 [shift]+[space]로 한영전환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윈도우 XP를 사용할 무렵부터는 [space] 옆에 있는 한영전환에 점점 더 익숙해 졌습니다. 그러다보니 맥북을 사용하면서도 [control] + [space] 혹은 [command] + [space]로 한영 전환하는 것이 어색하였습니다. 그래서 맥북을 처음 사용하면서부터 캐러비너(Karabiner)란 앱을 이용해 [control]+[space] 를 그냥 오른쪽 [command]로 바꿔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맥 OS를 시에라로 바꾼 후에 캐러비.. 2018. 12. 12.
절필한 문장가 "글쓰기는 천재가 따로 없다" 2012년 절필을 선언한 고종석이 쓴 입니다. '절필을 선언했는데 무슨 책이냐?' 하실 분들도 있겠습니다. 그 사연부터 밝히면 이번 책은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숭실대에서 진행하였던 '글쓰기 강연'을 묶어 으로 펴낸 것입니다. 고백하자면 유명 저자인 고종석의 책을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남들보다 책을 적게 읽는 편이 아닌데도 독서 편향이 심하여 이미 잘 아는 작가들의 책만 주로 읽다보니 그리된 것 같습니다. 을 펼쳐들고 채 10여 쪽을 넘기기 전에 저자의 매력에 빠져들었습니다. 저자야 말로 글자 그대로 '지식인'이더군요. '동서고금'의 철학, 역사, 문화, 교양에 두루 능통하였습니다. 이미 절필을 선언하였던 저자는 이 강연을 통해 자신이 "글쓰기보다 말하기를 더 즐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14. 12. 11.
한글창제 세종대왕, 한글 민주화 이오덕 [서평]이주영이 쓴 한글 창제 560여년! 어느 인터넷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보면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었다고 하지만, 한글이 상놈이나 여자들 말에서 대중들 표준어로 자리 잡은 것은 주시경, 김두봉, 이극로, 최현배와 같은 이들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적고 있다. 우리시대에는 언어생활의 민주화라는 관점에서 우리말 바로쓰기 운동을 시작하여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과 사회의 민주주의를 키워 가꾸고 발전시킨 사람이 있다. 우리 아이들이 고운 우리말을 살려 자기 생각과 마음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치기 시작한 사람, '우리말 살리는 모임'과 같은 우리말과 글 바로쓰기 운동을 하는 단체를 만든 사람, 한글을 더욱 한글답게 만든 사람이 있다.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교육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단어 '참교.. 2009.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