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세상/책과 세상 - 생명, 평화

죽은 아내 그리워 유골 먹었다는 남편

by 이윤기 2015. 5. 2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야쿠시마 여행을 다녀오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된 사람은 25년 간 그 섬에 살다 세상을 떠난 야마오 산세이입니다. 그는 일찍이 가족과 함게 7200년 된 삼나무 조몬스기가 있는 야쿠시마로 이주하여 날 마다 조몬스기를 생각하며 살다가 별이 되어 지구를 떠났습니다.


사회운동가이자 시인이었으며 농부이자 구도자로서 조몬스기와 함께 야쿠시마에 살았던 야마오 산세이의 삶은 지구 환경, 생태, 생명, 평화 등의 가치에 의미를 두는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이 되었습니다. 그는 사람이 자연과 함께 사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자연에 기대어 살고 있다는 하였더군요.


그를 더 더 자세히 알고 싶어 한국어로 번역된 책 네 권을 모두 찾아 읽었는데, 앞서 <더 바랄게 없는 삶>과 <여기에 사는 즐거움>을 소개하였으며 오늘은 <어제를 향해 걷다>를 소개합니다. 먼저 소개하였던 <여기에 사는 즐거움>과 오늘 소개하는 <어제를 향해 걷다>는 모두 절판된 책을 헌책방에서 구입하였습니다.


도서관에서도 빌릴 수 있는 책이었지만, 도서관에서 빌려 있는 책은 마음대로 책장을 접을 수도 없고, 밑줄을 그을 수도 없어 제 적성에는 맞지 않기 때문에 웬만하면 책은 사서 읽는 편입니다.  


이 책들은 헌책방에서 샀지만 출판 당시 책에 표시된 정가보다 더 비싼 값을 주고 샀습니다. 헌책방 하시는 분들의 안목이 높은 때문인지 절판된지 오래되어 구하기 어려운 책이 아닌데도, 원래 가격보다 비싸게 팔고 있더군요.


새 책보다 비싼 헌 책...헌 책방 사장님의 안목일까?


2006년에 번역 초판이 나왔던 <어제를 향해 걷다>는 야마오 산세이의 일본어 판 책 <조몬 삼나무의 그늘 아래서>와 <회귀하는 날들의 일기> 중 일부를 우리말로 옮겨 <어제를 향해 걷다>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였다고 합니다.


택배로 받은 책을 펼쳐보면서 일기처럼 짧은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과연 책의 일부는 원래 일본에서는 <회귀하는 날들의 일기>로 출판되었더군요. 이 책은 고향에 관한 이야기, 자연의 시간에 관한 이야기, 자급자족하는 생활 이야기, 예배와 기도 명상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 이야기로 나뉘어 있습니다.


혹시 다른 책을 읽은 독자들이나 야쿠시마나 조몬스기와 관련된 TV 다큐에서 지금도 야마오 산세이의 아내 하루미씨가  옛집에서 살고 있는 것을 보신 분들도 있을텐데요. 그 때문에 저도 이 책에 나오는 '아내의 뼈를 먹다'라는 글을 읽을 때 조금 헷갈렸습니다.


제가 읽은 네 권의 책을 통해 발견한 단서들을 모아보면 야마오 산세이의 첫 번째 아내는 '준코'였던 모양입니다. <어제를 향해 걷다>에는 준코 여사의 갑작스런 죽음과 이별의 슬픔을 견디어 가는 야마오 산세이의 심경이 자세히 고백되어 있습니다. 


야마오 산세이와 함께 야쿠시마에서 살았던 준코 여사는 '지주막하출혈'이라는 흔하지 않은 증상으로 1987년 47세를 일기로 급작스런 죽음을 맞았습니다.


"의식 불명인 아내의 간호, 밤샘, 장례식, 화장, 그뒤의 초칠일까지 상주 및 승려로서의 임무를 다해 오며 그동안 거의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죽고 싶을 만큼 잠을 자고 싶었지만 잠이 오지 않았다. 마침내 몇 시간이나마 숙면을 취할 수 있었던 하룻밤을 지내고 맞은 열흘째 날의 아침, 맑은 하늘 아래 죽을 수도 울 수도 없는, 어디에도 마음을 둘 수 없는, 그런 가운데서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되는 내가 있었다." - 본문 중에서




아내 장례 치르고 가장 먼저 한 일이 똥 푸는 일


급작스런 아내의 죽음 이후에 다가온 슬픔과 절망적인 마음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아내 생각이 간절한 어느 밤 야마오 산세이는 '아내의 유골'을 먹으며 그리움을 달래기도 합니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깊은 슬픔에 빠져 열흘을 보낸 그가 몇 시간이나마 숙면을 취한 다음날 맨 처음 한 일이 '변소의 똥오줌을 치우는 일'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는 말이 떠오르더군요.


물론 그는 평소에도 변소 치우는 일을 싫어하지 않았습니다. 그가 쓴 다른 글을 보아도 변소 치우는 일을 '명상' 하듯이 기꺼운 마음으로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똥오줌을 퍼다가 나무에 주는 일을 생명을 순환시키는 일, 생명을 살리는 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작은 일상에서도 아내의 부재를 실감하게 됩니다.


"문득 이렇게 똥을 퍼서 똥통이 깨끗하게 비더라도 더 이상 기뻐해줄 사람이 없다는 생각이 났다. 그리고 내가 변소 치기를 좋아하는 것은 똥을 퍼내는 그 자체도 나쁘지 않았지만 그보다는 아내가 그 결과를 대단히 좋아했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갑자기 알게 되었다." - 본문 중에서


그는 오열어 터져나올 것 같은 충동을 이를 악물고 참고 비틀거리면서 60킬로그램쯤 되는 똥통을 메고 다리 건너 배나무 아래로 가서 변소치기를 마칩니다. 그에게 일상의 모든 일은 아내가 살아 있을 때와 아내가 죽은 후로 나뉘졌다고 하더군요. 특히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된 것들은 아내의 영혼이 머무는 장소들입니다.


"아내가 숨을 거둘 때 나는 분명히 보았다. 아내의 영혼은 이 섬의 최고봉인 미야노우라 산으로 날아갔다.......그때처럼 어떤 이유에서인지 아내는 갑자기 메시모리 산에서 모습을 나타냈던 것이다. 해거름 녘의 맑은 공기 속에서 메시모리 산은 자신의 푸른 모습을 뚜렷하게 내보이고 있었고, 그 산에는 미야노우라 산에서처럼 이미 아내의 영혼이 살고 있는 것이 분명했다." - 본문 중에서


그는 처음 야쿠시마의 최고봉인 미야노우라 산으로 갔던 아내의 영혼이 자신의 일상을 지켜볼 수 있는 집 가까운 산 메시모리로 옮겨왔다고 느낍니다. 아내가 기뻐할 만한 일을 할 때마다 자신만이 아는 표식으로 위로해줄 것이라고 믿더군요. 


이 책에는 아내가 그리워 잠못 이루던 어느 날 밤 아내의 유골을 먹은 사연, 서둘러 무덤을 만들지 않고 서재에 아내의 유골을 두고 함께 지내는 사연, 집 가까운 산비탈에 아내의 무덤을 만드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아내의 영혼은 야쿠시마 최고봉 미노우라산으로 갔다


한편 2002년에 국내에 번역 된 <여기에 사는 즐거움>에는 지금도 야쿠시마의 옛집에 살고 있는 아내 '야마오 하루미' 여사가 쓴 감사의 글이 실려 있습니다. 아마 1987년에 준코 여사와 사별한 후에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하루미 여사와 재혼 한 것이라고 짐작됩니다.


<어제를 향해 걷다>에 실린 준코 여사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는 짧은 글 4~5편에 불과하지만 깊은 슬픔이 담긴 글이라 마음을 무겁게하더군요. 일기 형식으로 씌어진 이 책에는 저자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글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는 야마오 산세이가 야쿠시마를 고향으로 삼게 된 까닭도 씌어 있습니다.


"하지만 천명은 이미 정해져 있어 우리는 이미 이 섬에 오지 않을 수 없었다. 천명이란 조몬삼나무라 불리는 칠천이백 년의 할아버지 삼나무의 부름이었다. 그것이 가장 큰 힘이었다. 이 섬에서 두세 해 사는 사이 나는 그 삼나무를 어느새 '성스러운 노인'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내 영혼 깊은 곳에서 안심을 주는 스승으로 받아들이게 됐다." - 본문 중에서


야마오 산세이는 25년을 야쿠시마에 살다가 죽는 날까지 조몬스기를 스승으로 여겼다고 합니다. 인간이 아닌 한 그루 나무를 스승으로 둔 것을 천명으로 여긴다고 하더군요. 그가 남긴 많은 글을 읽어보면 나무 한 그루 역시 사람만큼 귀한 생명이라는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에게 중요한 것으로 땅, 물, 바람, 나무, 불 이 다섯 가지를 듭니다. 이것을 기억하고 책을 읽어보면 이 책에 있는 글들은 모두 이 다섯가지 중요한 것들과 관련된 이야기들이기도 합니다.


<어제를 향해 걷다>라는 제목은 책에 담긴 60여 편의 글 중 한 편의 제목이기도 합니다. 야마오 산세이는 인간의 시간과 자연의 시간에 관하여 깊이 성찰 하였더군요. 책 제목이기도 한 '어제를 향해 걷다'라는 글은 '자연의 시간과 인간 의식'에서 만들어지는 시간에 관하여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실은 내일을 향해 걸을 수 있는 것처럼 어제를 향해서 걸을 수 있다. 우주 식민지를 향해 걷는 것도 가능하지만 석기 문화를 향해서 걸을 수도 있는 것이다. 시간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고 있다고 하는 것은 이 시대의 큰 착각이자 선전에 지나지 않는다." - 본문 중에서


예컨대 우리는 항상 '지금'이라는 순간에 존재하고 있지만, 우리 문명은 미래를 향해서만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향해서도 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핵무기도 없고 핵발전소도 없는 과거로 가는 것이 더 나은 발전이라는 것입니다.


"시간은 앞으로 나아가는 한편 날마다 돌아오고, 봄여름가을겨울로 돌아오고, 한 세대에서 또 한 세대로 돌아와도 거기서 불편한 일은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 본문 중에서


'어제를 향해 걷는 것'이 우리가 가야할 새로운 문명이라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오래된 미래'와 비슷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지요. 어제가 오늘로 오늘이 내일로 이어지는 직선의 시간, 시간의 불가역성에만 매달리면 회귀하는 시간, 순환하는 시간의 흐름을 놓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어제를 향해 걷는 것이 새로운 문명이다!


많은 사람들이 시간을 거슬러 살 수는 없다고 하지만, 야마오 산세이가 말하는 순환하는 시간, 회귀하는 시간에 주목해야 삶이 풍성해질 수 있을 겁니다. 야마오 산세이에게 회귀의 시간, 순환하는 시간에 주목하였기 때문에 나이많은 삼나무 조몬스기에 대해서는 특별한 애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야마오 산세이는 자신을 야쿠시마로 끌어들인 성스러운 노인 조몬스기에 대하여 여러 차례 언급하고 있습니다.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그가 이 섬에 살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수령 7200의 조몬스기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일은 물론, 노자가 하늘나라도 올라간 것, 그리스도가 십자가 위에 못 박힌 일까지 모두 지켜보았을 것이 틀림없는 그 할아버지 삼나무는 어둠이 밀려오는 숲 속에서 홀연히 모습을 드러냈다." - 본문 중에서


"수령 칠천이백 년의 조몬 삼나무는 깊은 산속에 있어 쉽게 가서 뵙기 어렵다. 하지만 도쿄에서 이섬으로 옮겨와 산 십년 동안 나는 하루도 조몬 삼나무를 생각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 또한 조몬 삼나무가 나를 생각하지 않은 날도 없으리라고도 생각한다. - 본문 중에서


그는 자연과 교감하고 자연과 공존하는 삶에 충실하려고 노력하더군요. 특히 '산에서 사는 즐거움' 이라는 글에는 자연과 하나되는 경험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정말 자연을 이해하려면 노동을 통해 자연을 만나고 경험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기 합니다.


"쏟아지는 비를 맞으며 낫으로 풀을 베다 보면 차츰 자신이 인간이기 보다는 식물과 비슷한 존재라는 걸 느끼게 된다. 비를 피하지 않고 그냥 맞는 식물들의 고요와 기쁨이 가슴속에 분명하게 전해지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


그에게 노동은 명상과 같은 구도 활동이기도 합니다. 말하자면 자연과 공생하는 방식의 삶은 도시를 떠나 시골에서 살지 않으면 경험하기 어려운 일이지요. 인간이면서 식물(농작물)과 일체감을 경험 하는 사람들은 흔치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저자는 "산이 있고, 강이 있고, 바다가 있어 사람이 살 수 있다고 하는 이 소박한 진리'가 독자들에게 전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글을 썼다고 합니다 자연이 주인이고 사람이 그들에 기대어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으면 좋겠다고 말합니다.


자연에 기대어 살아가는 삶을 위해 야마오 산세이는 ▲손수 농사지어 먹는다, ▲되도록 기계에 의존하지 않는다, ▲기도와 명상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서두르지 않고 집중한다 등의 생활 원칙을 지키며 살았습니다. 그의 삶과 글이 생명이 서로 공존하는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울림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어제를 향해 걷다 - 10점
야마오 산세이 지음, 최성현 옮김/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