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읽기

우후죽순 지자체 배달앱, 성공할까?

by 이윤기 2021. 7. 26.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창원 KBS1 라디오 <시사경남>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 5월 3일 방송분)

 

지난해 4월 민간 플랫폼 사업자들이 배달앱 수수료를 인상한데 반발하면서 전국의 여러 지방정부들이 공공 배달앱 개발에 나섰습니다. 경기도 배달앱 ‘배달특급’이 가정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경남에서도 거제시가 지난 3월 3일부터 공공배달앱 ‘배달올거제’를 시작하였습니다. 오늘은 도내 지방 정부들이 잇달아 개발하고 있는 공공배달앱에 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경남에서는 지난 3월 3일 거제시가 배달올거제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4월에는 진주시가 지원하는 배달앱 ‘배달의 진주’와 ‘띵똥’이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창원시도 창원시 배달앱 플러스 창원사랑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또 양산시의 경우 별도의 앱을 개발하는 대신에 양산사랑카드와 앱과 연계하는 배달서비스를 출시하여 광고비와 중계수수료가 없는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그러다보니 거제, 진주, 창원, 양산 만큼 인구가 많은 김해시에서도 소상공인들이 지방정부가 나서서 공공배달앱 시스템을 도입해달라는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전남 여수의 씽씽여수, 충북 제천의 배달모아에 이어 광주, 대구, 세종에서 각각 연내에 서비스 시작을 목표로 공공 배달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거제, 진주, 창원, 양산...다 따로 만드는게 좋을까?

하지만 이미 배달앱을 도입한 전국 지방정부들의 성과를 살펴보면 적지 않은 세금을 들여서 만들 이들 공공배달앱이 모두 성공적으로 정착되지는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언론보도(전자신문)에 따르면 제 1호 공공배달앱인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는 올해 2월 이용자가 3만 2000명에 불과하여 출시 초기에 비하여 오히려 이용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작년 4월 이용자가 1만 4400명이었는데, 작년 10월 3만 218명까지 늘어났으나 올해 1월에는 1만 2000명까지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 

또 거제시의 배달올거제 이용자도 하루 1000명 안팎이고, 서울시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먹깨비의 경우에도 지난 해 12월 이용자가 9만 3000명이었는데, 올해 2월에는 7만 2000명으로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사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배달앱은 경기도가 개발한 ’배달특급‘이 유일합니다. 경기도 배달앱의 경우 안드로이드 기준으로 전체 배달앱 시장에서 점유율 1.02%를 차지하였고, 월 이용자는 14만 7349명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배달특급은 출시 100일 만에 누적 거래액 100억원을 넘겼고 하루 평균 거래액이 1억 여원 가까이 되고, 누적 거래건수는 38만건 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이것은 경기도 전체의 성과가 아니라 시범서비스 지역이었던 화성, 오산, 파주 3개시에서 거둔 성과라고 합니다. 화성 오산 파주 지역 인구가 155만명인데, 2월 한 달 동안 전체 인구의 약 10%가 경기도 배달앱 ‘배달특급’을 이용한 셈이라고 합니다. 

소상공인들과 소비자 양쪽 모두로부터 좋은 평가가 나오고 있고, 이용률도 예상보다 높다 보니 3월에만 이천, 양평, 연천, 김포 등으로 서비스 지역이 늘어났고, 새로 서비스를 시작한 모든 지역에서 가맹점 목표치를 초과하여 가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울러 포천과 양주에서도 서비스 오픈을 서두르고 있고, 인구가 100만이 넘는 수원, 고양, 용인 등에서도 서비스 준비를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경기도 배달특급은 경기도 전체에서 사용가능?

자, 그렇다면 경남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하는 공공배달앱들이 경기도 ‘배달특급’과 같은 성과를 내고 시민들과 소상공인의 사랑을 받으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아직 평가가 좀 이르기는 합니다만, 그간의 성적표를 보면 거제시의 배달올거제나 진주시의 배달의 진주가 경기도의 ‘배달특급’과 같은 성과를 거두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왜냐하면, 지방정부가 출시하는 배달앱은 대부분 지역사랑상품권과 연계하여 소비자들에게 할인혜택을 주고 있는데, 군산시 배달의 명수의 경우 지역사랑상품권 할인 판매 기간에는 이용자가 늘어나지만 지역사랑 상품권 유통이 줄어들면 이용자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줄어드는 대신에 소비자들에게 주어지는 혜택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배달의 민족이나 요기요 등 민간사업자들의 배달앱을 이용하는 경우 중계 수수료가 최고 16%에 이르는데, 지방정부가 만든 공공배달앱의 경우 수수료가 없거나 1~2%의 훨씬 적은 수수료만 부담하면 됩니다. 

이렇게 배달수수료가 줄어드는 것은 대부분 지방정부가 세금을 들여서 배달앱을 개발하고, 마찬가지로 세금을 들여서 지역사랑상품권을 할인하여 판매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소상공인들의 배달수수료가 줄어드는 혜택을 소비자들에게는 돌아오지 않는다는 지적입니다. 예컨대 배달수수료가 줄어드는 혜택의 일부는 쿠폰, 적립금 등의 형태로 소비자들에게도 일부는 돌아가야 이용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진주시에서는 ‘배달의 진주’가 출시된 이후에 월매출 5천만원이 넘는 대상공인들의 경우 진주형 배달앱 참여를 제한해 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습니다. 

 

 

거제, 창원, 진주, 양산 다 되는 앱을 만들어야 

이에 비하여 경기도가 서비스하는 배달특급의 경우 소상공인에게는 광고비 부담이 없고, 중계수수료도 1%만 부담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소비자들에게도 최대 15%까지 할인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충전할인 10% 뿐만 아니라 결제 금액의 5%를 지속적으로 쿠폰으로 되돌려 주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편, 경남지역의 거제, 진주, 창원에서 도입하는 공공배달앱이나 지역배달앱의 경우 기초 지자체 마다 각각 다른 방식으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운영 방식도 다르고 이름도 모두 제 각각입니다. 경남 도내에 있는 바로 인접한 지역들이지만 지방정부마다 서비스 방식도 다르고 앱도 모두 다른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예컨대 진주 시민이 진주에서 배달의 진주를 사용하다가 창원이나 거제에 가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지역 배달앱을 새로 설치해야 하는데, 다른 지역 앱이 어떤 것인지 이름도 알 수가 없고 검색을 통해 그 지역 배달앱을 찾아서 번거로운 가입 절차를 거치기보다는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지 못하더라도 민간 배달앱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우리 지역 공공배달앱들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으려면 적어도 경기도처럼 경남 지역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배달앱이 개발되거나 혹은 서비스가 통일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다른 여행자들은 물론 집과 직장이 다른 사람들까지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함으로써 시너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민간 배달앱은 전국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데, 공공 배달앱은 내가 사는 도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서는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게 될 것입니다. 

사실 이런 비슷한 일은 우리가 이미 오래전에 경험하였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교통카드입니다. 교통카드가 처음 나왔을 때도 지방정부마다 다른 교통카드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아주 오랫동안 시민들이 불편을 겪어야 했습니다. 1996년에 서울시가 처음으로 교통카드를 도입하였는데, 무려 14년이 지난 2000년에야 지하철과 호환이 되었으며, 교통카드 하나로 전국의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은 20년 후인 2017년에서야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불편과 불합리를 다시 경험하지 않고 시너지를 높이려면 도내 지방 정부들이 따로따로 도입하고 있는 공공 배달앱 혹은 지역 배달앱을 적어도 경남 안에서라도 단일 앱으로 통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경남지역 지방정부 배달앱은 아직 사용자가 많지 않고 서비스를 시작한 지역도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경상남도가 나서서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 지역 배달앱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공공배달앱...지방정부가 플랫폼을 소유해야한다

아울러 정말 더 중요한 것은 공공배달앱 플랫폼을 지방정부가 소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진주시 공공배달앱의 경우 월매출 5천만원 이상 대상공인을 제외해달라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지만, 플렛폼을 민간이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진주시가 어떤 정책적 결정을 할 수가 없습니다. 거제시의 배달앱 ‘배달올거제’도 민간사업자인가 플랫폼을 소유하는 구조입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연결되는 정보통신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유통에서 플랫폼 사업자가 핵심적이고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한 제로페이의 경우도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큰 이유 중 하나가 플랫폼을 공공이 소유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저는 제로페이 앱안에서 직접 배달앱 서비스를 만들 수 없는 것도 바로 플랫폼을 공공이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경기도가 서비스하는 배달앱의 경우 민간 기업이 아니라 경기도가 지분을 출자하고 경영권을 가지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플랫폼 사업자입니다. 단순히 배달앱 서비스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도가 정책적으로 시행하는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 정책이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어마어마한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경상남도가 플랫폼을 소유하지 못해 성과를 제대로 내지 못하고 있는 제로페이의 경험을 교훈 삼아 기초 지방정부마다 우후죽순으로 시작되는 공공배달앱을 통합하는 경남형 배달앱 플랫폼을 만들어 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