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읽기

축제, 공무원도 일이라 생각하지 말라고?

by 이윤기 2010. 11. 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창원 페스티벌 논란, 끝장을 봐야 한다

지난 10월 31일 개최된 2010년 창원페스티벌을 둘러싸고 공무원노조와 창원문화재단 상임이사 간의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공무원 노조와 창원문화재단 상임이사간의 공방이 없었다면, 대다수 시민들은 알 수도 없었던 여러가지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 바람에 '창원페스티벌'을 비롯한 축제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저는 10월 25일자로 발행된 창원시보를 보면서 시민화합을 위한 이번 축제가 좀 뜬금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통합 창원시 원년을 기념하는 축제가 시민 여론이나 시민 사회의 합의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이렇게 갑자기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의문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논란이 벌어진 후에야 페스티벌이 처음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3개시 통합을 자축하고 '화합'을 위해 마련한 축제가 현재의 창원광장과 중앙로 일대에서 개최되는 것은 적절한가 하는 점에서도 쉽게 공감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마치, 통합의 중심은 옛 창원시이고 옛 창원시를 상징하는 시청과장과 중앙로 일대에 3개시의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시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퍼포먼스'와 다름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창원시보에 나와있는 행사 내용을 보니 '5개구청과 기업체를 참가시키는 퍼래이드'도 있더군요. 행정구역이 통합되면 모든 자원과 역량이 '시청광장' 일대로 집중될 것을 염려하였었는데, 우려가 현실이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공무원노조 통합창원시지부에서 '축제 통폐합'과 '공무원 동원'을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고, 잇달아 창원문화재단 상임이사가 경남도민일보에 '공무원의 축제 동원에 대한 불만을 비판'하는 기사가 보도 되었습니다.

저는, 공무원노조의 성명서보다 경남도민일보 기사를 먼저 보았습니다. 경남도민일보 기사를 보니 '6000명이 넘는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고생하며 준비했다, 시민이 승리한 축제였다'고 되어 있더군요. 

개인적으로 정말 이렇게 많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하였을까? 이런 행사를 통해 시민들의 화합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갖고 있었지만, 행사의 속 사정을 모르는 사람으로서  많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는 주장을 믿지 않을 수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공무원의 마인드가 변해야 한다면서 "공무원이라 생각 말고 시민이라 생각하고 축제에 참여하자"는 주장은 현실성이 없어 보였습니다. 공무원이 시민이라 생각하고 축제에 참여하면, 공무원도 시민들처럼 축제를 즐기고 놀아도 된다는 이야기로도 들리기 때문입니다.

축제 통폐합 주장 충분히 일리 있다

어떤 행사든지 화려해보이는 축제가 진행되는데는 보이지 않는 곳에는 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수고하는 손길이 있기 때문이고, 이들이 축제에 참가하는 시민들처럼 즐기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시민들에게는 '축제'(?)이지만 공무원들에게는 '일'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양측의 공방이 벌어진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우선, 공무원 노조에서 '졸속'이라고 주장하는 이번 창원페스티벌을 위해서 '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 각 구청 산하 공무원들에게 분장을 시키고 의상을 입혀 축제에 동원하였다는 사실도 확인되었습니다.

"예산과 인력낭비, 전시성 일회성 행사의 대표적 사례"이며 "생뚱맞은 축제"라는 지적도 있더군요. 공무원 노조에서는 통합이후 방만하게 운영되고 있는 특색없는 축제를 정비하자는 주장을 하였습니다. 굉장히 일리있는 지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공무원들이 자발성을 가지고 축제에 참여하기에 통합 창원시의 축제가 너무 많다는 주장에도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솔직히, "휴일근무자에 대한 여비 및 급식비 지급, 대체휴무 보장"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수 천명 시민들이 자원봉사로 만들어가는 축제에 행사지원을 나온 공무원들만 보상조치를 한다는 것이 잘 수긍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연간 30~40회가 넘는 축제에 동원 된다면 이건 사정이 좀 다르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일년에 1~2번 있는 축제라면 공무원들에게 자발적 참여와 시민을 위한 행사 지원과 봉사를 요구할 수 있겠지만, 그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주장에 오히려 공감이 되었습니다.

아울러, 통합창원시가 1년에 30~40개의 축제를 개최하는 것은 행정구역 통합의 취지에도 맞지 않습니다. 통합의 가장 큰 명분은 '효율성'과 통합으로 인한 '시너지 창출'이었습니다. 효율성은 '통폐합'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이루어지지 어렵습니다.

이번 기회에 연간 30~40여개에 이르는 축제 횟수는 적절한지, 40여억 원의 예산지원은 타당한지 재검토하고 과감히 정비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진지한 토론이 이루어지고 논란이 더욱 확산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