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어르신3 무늬만 교통 복지...한 달에 8번만 공짜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3. 10. 2. 방송분) 창원시가 노인의 날인 오늘부터 7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발급하는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여러시민단체들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시내버스 무상요금제, 시내버스 정액요금제 등을 주장해 왔는데, 창원시가 그 첫 단계로 7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교통복지 카드를 발급하는데요. 오늘은 창원시 교통복지카드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창원시가 시행하는 75세 이상 어르신 교통복지 카드 제도는 ’복지‘라는 단어를 사용하기에 너무 민망하다고 염치없는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이번 교통복지.. 2024. 6. 13. 서울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지원...지방은?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2. 7. 11. 방송분) 최근 서울시가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과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 2차 대상자 모집을 시작하였습니다. 오늘은 지방정부들이 대중교통 서비스를 교통복지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모범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교통복지 사례는 서울시가 1984년부터 38년째 시행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무상 이용 서비스입니다. 서울시 지하철은 1980년 국무회의에서 처음으로 70살 이상 고령자 요금을 50% 할인해주는 것으로 시작되었는데, 1년 뒤에는 65세 이상으로 낮추어졌고, 1984년 서울지하철 2호선을 .. 2023. 7. 12. 일흔 노인이 머리 감겨주는 이발소 "젊은이들 불편해하면 일자리 잃어요" 나이든 사람 배려하는 방식 바뀌어야... 사람들의 관심이 단순히 머리를 짧게 자르는 것에서 머리를 예쁘게 만드는 것으로 바뀌면서 이발소는 점점 줄어들고 그만큼 미장원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요즘은 파마나 염색을 하는 남자들도 쉽게 볼 수 있고 화장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하더군요. 한때 '퇴폐 이발소' 문제가 사회적 관심으로 떠오를 무렵부터 많은 젊은 남자들이 미장원을 찾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저는 대학 시절 몇 번 미장원에 가서 머리를 자른 적이 있습니다만 결국은 이발소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결혼 이후 줄곧 동네 단골 이발소에서 머리를 자릅니다. 아이 둘과 저 이렇게 셋이 늘 함께 이발소를 가곤 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이 된 큰아이는 가끔 친구들처럼 미장원에.. 2009. 7. 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