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오염수3

창원천 준설공사의 문제점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4. 5. 6 방송분) 최근 창원시는 재해대책의 일환으로 범람 우려가 있는 하천에 대한 준설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4월 22일 지역 14개 시민단체가 모인 ‘창원물생명연대’에서 이 공사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오늘은 창원천 준설 공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문제점은 무엇인지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최근 창원시가 국가산단 50주년 미래 비전 발표를 하면서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처럼 하천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 시민단체들의 주장입니다. 홍남표 시장은  "산단 내 폐공장 등을 활용해 복합 문화 공간과 쇼.. 2024. 11. 19.
오염수 해양투기...100년 지나도 안 끝날 것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3. 7. 3 방송분)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 2011년 3월 11일 지진과 쓰나미로 냉각수 공급이 끊겨 폭발한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 이후 12년이 지난 올해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방사는 오염수 해양투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초읽기에 들어간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 문제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먼저 방사능 오염수라는 주장과 방사능 처리수라는 주장에 대하여 한 번 따져보겠습니다.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이 ALPS라고 부르는 장치, 우리말로 ‘다핵종 농도 저감장치’에 대하여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일본 정.. 2024. 4. 25.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한반도는 안전?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2. 2. 14 방송분) 오는 3월 11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가장 끔찍한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 중 하나인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11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후쿠시만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원자로의 노심을 완전히 냉각시키지 못하였으며 여전히 소량의 방사능 낙진이 나오고 있으며, 원전이 완전히 정지되는 콜드다운까지는 사고 후 20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1986년에 사고가 난 체르노빌 원전의 경우 2000년이 되어서야 완전히 정지되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해양오염은 물론이고 주변국들을 심각한 방사능 .. 2022. 6.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