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외국인4 저출산? 정리해고, 구조조정, 비정규직이 원인 일본을 제치고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는 어느 나라일까요? 베이붐 세대가 노인기로 진입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20년이면 일본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나이든 나라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지난 11월 말, 지역에서 개최된 한 심포지움에서 를 주제로, 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이상림 박사가 발표했던 축소사회로의 대전환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인구 감소로 인한 위기를 예측하는 이야기들은 전에도 많이 들어 왔습니다. 주로 고령화로 인하여 경제성장이 둔화된다거나, 재정 위기, 노동력 부족, 연금 고갈 같은 이야기를 반복해서 들어왔는데, 이상림 박사는 그보다 더 심각한 위협에 대하여 충격적인 이야기들을 들려주었습니다. 제가 받은 가장.. 2025. 4. 22. 명예시민증 수여 졸속으로 결정되는 이유? 지난 7월 초 창원시 명예시민증 중복 수여 논란이 벌어진 후에 행정 정보공개를 청구 통해 명예시민증 수여 절차와 과정에 대하여 확인해보았습니다. 정보공개된 문서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창원시 명예시민증 수여 조례를 검토해보니 명예시민증 수여가 졸속으로 처리된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졸속이라는 표현이 못 마땅한 공직자 분들도 있겠지만 제가 보기엔 분명 졸속입니다. 특히 통합 창원시 명예시민증 번호를 제 1호부터 시작한 것과 맹형규 장관을 지나치게 예우하려다가 내국인을 따로 구분하고 2011-1번을 부여한 것은 사려 깊지 못한 판단이었습니다. 우선 '창원시 명예시민증 수여 조례'의 문제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이 조례에는 명예시민증 수여 심사를 '창원시 인사위원회'에서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명예.. 2011. 8. 26. 명예시민증 제 1호 논란, 매년 반복 된다? 지난 7월 초에 통합창원시 명예시민증 제 1호가 맹형규 장관과 띠모 엘로넨 노키아 티엠시 사장에게 중복 수여 되었다는 문제제기를 블로그와 오마이뉴스를 통해하였습니다. 당시 창원시로부터 내국인 1호와 외국인 1호로 각각 수여하였다는 납득이 잘 안되는 해명을 들었습니다. 그 뒤 창원시에 명예시민증 수여 현황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를 하여 어떤 사람들이 명예시민증을 받았는지 살펴보는 기사를 블로그에 포스팅하였습니다. 창원시 해당부서에서는 "조례상에 내국인과 외국인을 구분하여 번호를 부여 할 수 없다는 규정이 없으니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입니다만, 제가 보기에는 옛마산시나 옛창원시에서 해왔던 것처럼 지금이라도 연번으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우선 창원시 조례에느 내국인과 외국인을 따로 할.. 2011. 8. 23. 아프리카에서 외국인으로 살아보기 [서평]구혜경이 쓴 구혜경이 쓴 는 2006년 7월부터 6개월간 아프리카 대륙의 동쪽, 인도양 연안에 있는 탄자니아에서 살았던 경험담을 기록한 책이다. 를 쓴 구혜경씨는 공동육아 어린이집에서 만난 의 저자 김정미씨와 마음이 맞아 아프리카 여행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두 엄마의 관심사가 "아이들을 자연 속에서 키울 수 없을까"하는 것이었고 그러다 우연히 아프리카에서 아이를 키운 한 영국 엄마의 책을 본 후 아프리카로 떠나자고 의기투합하기에 이른다. 아프리카 대륙 탄자니아로 가는 길 는 이렇게 서툰 열정으로 시작한 세원이·윤재엄마 구혜경씨와 지호·지민이 엄마 김정미씨가 함께 떠난 동아프리카 여행에서 그들이 겪은 아프리카식 삶에 관한 이야기이다. "아프리카에 도착한 첫날부터 새로운 모험의 연속이었고, 꿈에 그리.. 2010. 4.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