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방소멸3 명문고 졸업하고 대학은 수도권으로...고향 안 돌아와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4. 3. 19 방송분) 지난주 경남도의원 한 분이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방 명문고등학교 육성을 위한 을 촉구하였습니다. 오늘은 수도권 쏠림과 청년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시대에도 지방 명문 고등학교 육성이 정말 필요한 일인지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먼저 지방 명문 고등학교 육성을 주장하신 분의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남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제주를 제외하고 자율형 사립고등학교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지난 10여 년간 경남의 수월성 교육이 크게 후퇴한 것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촉.. 2024. 10. 4. 땜질식 저출산 대책과 생색뿐인 정부지원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2. 11. 7 방송분) 네 지난주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에 비해서 가정양육을 선택한 아이들이 정부 지원에 있어서 1/5 정도의 차별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2013년 전 계층 양육수당 도입 이래 10년째 동결된 가정양육수당이 인상되어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지난 주에 이어서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내놓은 각종 육아 관련 수당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네 일단 정부가 영유아에 대한 양육부담을 완화하고, 출산율을 높이기 위하여 만든 수당체계가 너무나 방만한 것이 문제입니다. 현재 0~8세까지.. 2024. 1. 1. 민주주의와 불평등 그리고 지방소멸 창원 KBS1 라디오 에서 매주 월요일 이윤기의 세상읽기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방송 내용과 조금 다른 초고이기는 하지만 기록을 남기기 위해 포스팅 합니다.(2021. 7. 12 방송분) 오늘은 지난 7월 9일 금요일에,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에서 개최한 사회포럼 이야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부마항쟁 42주년을 기념하는 사회포럼, 올해는 민주주의 진전이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가? 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는데요. 이날 토론회에서 이슈가 되었던 민주주의와 불평등 문제 그리고 지방소멸 문제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사실 이번 토론회의 주제가 ‘민주주의 진전이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할 있는가?로 정해진 것은 올봄에 온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던 LH사태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부동산 투기 문제를.. 2022. 1. 1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