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참교육 역사 후퇴하고 있다.
엊그제 전교조 경남지부에서 주최하는 전교조 창립 20주년 기념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전교조 창립 20주년 행사는 '아름다운 동행 20년'을 기념하는 행사였습니다. 20년전 전교조 창립 과정에 함께 어깨를 걸고 힘을 싸웠던 1989년 그 시절 '동지'들을 초청하여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행사였습니다. 20년 전, 마창노련 의장(이흥석, 진영규, 이종엽), 가톨릭노동상담소 소장(정동화), 민교협 교수분들, 지역시민사회단체, 당시 마창고협 임원들을 초청하여, 어렵고 힘든 시절을 전교조와 함께 동행해준 분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는 자리였습니다. 노동운동을 함께 하시던 분들, 작가 김하경 선생님, 고승하 선생님 같은 분들이 참석하셨더군요. 전교조 경남지부 출범식이 열리던 날, 가톨릭여성회관 옥상에서 농성을 하던 ..
2009. 6. 13.
그림책 읽기로 장애 극복한 ‘쿠슐라’
[서평] 도로시 버틀러가 쓴 의 주인공 쿠슐라 요먼은 염색체 이상으로 육체와 정신에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입니다. 보지도, 만지지도, 입으로 느끼지도 못하는 모든 감각기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아이로 태어났지만, 누구도 생각하지 않은 그림책 읽어주기 라는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장애를 극복해나가는 이야기이지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1997년 스물다섯 살이 된 쿠슐라는 흔히 우리가 말하는 육체적, 지적으로 능력이 완전한 ‘정상인’이 되지는 않았습니다만, 좀 더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꾸려갈 수 있는 ‘정상인’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쿠슐라의 지적 능력이 완전한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 때문에 삶에 대한 충족감이 줄어드는 건 아니다. 쿠슐라는 잘 읽고 잘 쓰며, 컴퓨터로..
2009. 6. 11.
현장, 노무현 대통령 서거 이틀째, 봉하마을
조중동, KBS 나가라 ! 봉하마을을 지키고 있는 노사모 뿐만 아니라 빈소를 찾은 국민들도 조중동에 대한 반감이 강합니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첫 날, 봉하마을을 찾은 국민들이 수백명이라고 보도한 KBS 중계차는 마을 밖으로 쫓겨났습니다. 둘째 날, 장례위원회 측에서 '프레스카드'를 모든 언론사 기자들에게 나눠주면서, 조중동 기자들이 마을안으로 둘어와 취재를 시작하자, 노사모 회원들은 '조중동 기자'를 찾아서 쫓아내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시민들은, 카메라 기자들을 향하여 '똑바로 보도해라 !', "어느 방송국이냐?, KBS면 나를 찍지 마라 !"하고 강한 반감을 표시하였습니다. 오열하는 시민들 1시간 이상 분향을 기다리는 동안, 울음을 참고 있던 시민들이 분향소에 들어가 헌화하고 묵념을 ..
2009.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