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 읽기로 장애 극복한 ‘쿠슐라’
[서평] 도로시 버틀러가 쓴 의 주인공 쿠슐라 요먼은 염색체 이상으로 육체와 정신에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입니다. 보지도, 만지지도, 입으로 느끼지도 못하는 모든 감각기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아이로 태어났지만, 누구도 생각하지 않은 그림책 읽어주기 라는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장애를 극복해나가는 이야기이지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1997년 스물다섯 살이 된 쿠슐라는 흔히 우리가 말하는 육체적, 지적으로 능력이 완전한 ‘정상인’이 되지는 않았습니다만, 좀 더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꾸려갈 수 있는 ‘정상인’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쿠슐라의 지적 능력이 완전한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 때문에 삶에 대한 충족감이 줄어드는 건 아니다. 쿠슐라는 잘 읽고 잘 쓰며, 컴퓨터로..
2009. 6. 11.
현장, 노무현 대통령 서거 이틀째, 봉하마을
조중동, KBS 나가라 ! 봉하마을을 지키고 있는 노사모 뿐만 아니라 빈소를 찾은 국민들도 조중동에 대한 반감이 강합니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첫 날, 봉하마을을 찾은 국민들이 수백명이라고 보도한 KBS 중계차는 마을 밖으로 쫓겨났습니다. 둘째 날, 장례위원회 측에서 '프레스카드'를 모든 언론사 기자들에게 나눠주면서, 조중동 기자들이 마을안으로 둘어와 취재를 시작하자, 노사모 회원들은 '조중동 기자'를 찾아서 쫓아내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시민들은, 카메라 기자들을 향하여 '똑바로 보도해라 !', "어느 방송국이냐?, KBS면 나를 찍지 마라 !"하고 강한 반감을 표시하였습니다. 오열하는 시민들 1시간 이상 분향을 기다리는 동안, 울음을 참고 있던 시민들이 분향소에 들어가 헌화하고 묵념을 ..
2009. 5. 25.
사회주의 작가, 권환 문학제 개최 !
권환은 사회주의 문학 운동을 했던 대표적인 마산 출신 문인이라고 합니다. 지난 2003년부터 잊혀져 있던 사회주의 작가의 문학혼을 기리며 시작된 여섯 번째 '권환 문학제'(권환기념사업회장 양운진)가 5월 22~23일, 이틀 동안 작가의 고향인 마산에서 개최됩니다. 권환은 1924년 12월호에 단편소설 '아즈매의 사(死)'를 실으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으며, , , 을 비롯한 여러 매체에 시, 소설, 아동문학, 평론, 희곡 등 다채로운 작품을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교토[京都]제국대학을 졸업한 1929년부터 카프(KAPF - 조선프로레타리아 예술가동맹) 동경지부에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귀국 후에는 중앙위원회 기술부 책임자로 활동하였고, 1934년 체포되어 감옥생활을 하였다고 합니다. 광복 후에는 조선문학가..
2009. 5. 20.